[KBO] 프로야구 연봉순위 과연 어떤 선수들일까?
이제 2021 KBO 리그도 한국시리즈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비록 코로나로 인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시즌이었지만 여전히 한국시리즈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관중 수입이 줄어들면서 각 팀이 재정 관리에 더욱 힘썼는데요. 그러다 보니 평균 연봉이 15.1%나 감소했다는 발표가 있기도 했습니다. 올해 프로야구 연봉순위는 어떻게 되고 있을까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5(공동) – 이재원
출생연도 – 1988년(33세)
국적 : 대한민국
포지션 : 포수, 지명타자, 1루수
연봉 : 11억 원(오승환과 함께 공동 5위)
역대 소속팀: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2006~ )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5(공동) – 오승환
출생연도 : 1982년(39세)
국적 : 대한민국
포지션 : 마무리 투수
연봉 : 11억 원(이재원과 함께 공동 5위)
역대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2005~2013)
한신 타이거스(2014~2015)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2016~2017)
토론토 블루제이스(2018)
콜로라도 로키스(2018~2019)
삼성 라이온즈(2019~ )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4 – 최정
출생연도 : 1987년(34세)
국적 : 대한민국
포지션 : 3루수
연봉 : 12억 원
역대 소속팀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2005~ )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2(공동) – 박병호
출생연도 : 1986년(35세)
국적 : 대한민국
포지션 : 1루수, 지명타자, 3루수, 포수
연봉 : 15억 원(양의지와 함께 공동 2위)
역대 소속팀 :
LG 트윈스(2005~2011)
넥센 히어로즈(2011~2015)
미네소타 트윈스(2016)
로체스터 레드윙스(2016~2017)
넥센 히어로즈(2018~ )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2(공동) – 양의지
출생연도 : 1987년(34세)
국적 : 대한민국
포지션 : 포수, 지명타자, 1루수
연봉 : 15억 원(박병호와 함께 공동 2위)
역대 소속팀 :
두산 베어스(2006~2018)
NC 다이노스(2019~ )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1 – 추신수
출생연도 : 1982년(39세)
국적 : 대한민국
포지션 : 외야수, 지명타자
연봉 : 27억 원(한국프로야구 역대 연봉 1위)
역대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2005~2006)
클리블랜드 인디언스(2006~2012)
신시내티 레즈(2013)
텍사스 레인저스(2014~2020)
SSG 랜더스(2021~ )
이상 프로야구 연봉순위 Top 5 선수들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두산의 허경민과 LG의 김현수가 각 10억 원으로 연봉랭킹 공동 7위를 기록 중이며 KIA의 최형우가 9억 원으로 연봉 9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연봉 10위는 롯데의 이대호, 한화의 정우람, KT의 황재균이 8억으로 공동 10위를 기록 중입니다
역대 시즌 중 가장 말이 많고 탈도 많았던 2021 KBO 시즌, 이제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만큼 무사히 마무리하고 떠난 민심을 다시 한 번 잡을 수 있는 KBO 리그가 되기를 희망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