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ebt Service Ratio) 3단계 규제는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도입한 제도로, 개인이 연간 소득 대비 얼마나 많은 금액을 원리금 상환에 쓰는지를 기준으로 대출 한도를 제한하는 정책입니다.
✅ DSR이란?
• DSR은 모든 대출(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등)의 원리금 상환액을 합산한 뒤, 연 소득과 비교해 산출하는 비율입니다.
예) 연 소득 5,000만원, 연간 상환액 2,000만원이면 DSR = 40%
✅ DSR 3단계란?
DSR 규제는 총 3단계로 시행되었고, 3단계는 2022년 7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3단계 주요 내용
• 대상자 확대 : 대출 총액이 1억원 초과일 경우, 모든 대출자에게 DSR 적용
• 적용 비율 :
- 은행권 : 개인 DSR 40% 이하
- 비은행권(저축은행 등) : 개인 DSR 30% 이하
즉, 연 소득 5,000만 원인 사람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다면, 1년 동안 갚는 모든 대출의 원리금 합계가 2,000만 원(40%)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 대출한도는 얼마나 줄어드나?
대출 한도는 DSR 기준에 따라 소득과 상환 능력에 맞춰 정해집니다. 예시로 설명 드릴게요.
🧮 예시: 연 소득 4,000만 원, 은행권 대출 신청
• 적용 DSR : 40%
• 연간 상환 가능액 : 4,000만 원 × 40% = 1,600만 원
• 금리 4%, 만기 30년 기준으로 역산하면 → 최대 대출 약 2억 원 전후
✅ 연봉별 DSR 3단계 대출한도 계산
연봉별로 DSR 규제(3단계)로 인해 최대 대출 한도가 얼마나 되는지 예시를 들어 계산해 드릴게요.
✅ 전제 조건
• 금리: 연 4%
• 상환 기간: 30년(원리금 균등상환)
• DSR 기준:
- 은행권: 40%
- 비은행권: 30%
• 계산 결과는 은행권 기준 (DSR 40%) → 비은행권은 대략 25~30% 정도 더 적은 금액
💰 연봉별 최대 대출 한도 (은행권, DSR 40%)
연봉(만원) | 연간 상환 가능액 (40%) | 예상 대출한도 (30년, 4%) |
3,000만원 | 1,200만원 | 약 1.45억원 |
4,000만원 | 1,600만원 | 약 1.95억원 |
5,000만원 | 2,000만원 | 약 2.45억원 |
6,000만원 | 2,400만원 | 약 2.95억원 |
7,000만원 | 2,800만원 | 약 3.45억원 |
8,000만원 | 3,200만원 | 약 3.9억원 |
1억원 | 4,000만원 | 약 4.9억원 |
※ 실제 한도는 대출 금리, 상환 방식, 부채 보유 현황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얼마나 줄어들었나?
과거에는 담보가 충분하면 소득과 관계없이 대출이 가능했으나,
DSR 3단계 적용 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납니다.
연봉 | 과거 최대한도(추정) | DSR 적용 후 한도 | 감소폭 |
4,000만원 | 약 3~4억 | 약 1.95억 | - 1~2억 |
6,000만원 | 약 4.5~5.5억 | 약 2.95억 | - 1.5~2.5억 |
1억 | 약 6~7억 | 약 4.9억 | - 1~2억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 대선 출마 비용, 자격, 조건 살펴보기 (0) | 2025.04.28 |
---|---|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일, 투표율, 투표연령(나이) (0) | 2025.04.24 |
[정보] 폐업점포 재도전 장려금 신청방법과 지원대상 (0) | 2022.07.27 |
[정책] 예술인창작지원금 신청방법과 지원금액 알아보자 (0) | 2022.07.14 |
[정책] 2022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신청방법 알아보기 (2) | 2022.07.01 |